[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환경부는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6-20 20:36
조회2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환경부는 20일 서울 서초구 소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이병화 환경부 차관과 중국의 진 민(Chen Min) 수리부 부부장(차관급)이 기후위기 시대에 물관리 방향을 주제로 면담을 갖고, 양국의 수자원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 서명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병화(앞줄 오른쪽) 환경부 차관이 20일 서울 서초구 소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중국의 진 민(Chen Min) 수리부 부부장(차관급)과 양국의 수자원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 서명식을 개최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한국과 중국은 1992년 9월 한중 과학기술 협력에 관한 협정을 체결한 이후, 1995년 제1차 한중 수자원기술 협력 회의를 시작으로 매년 양국이 번갈아 개최하며 수자원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2014년 6월에는 수자원 분야 협력에 관한 약정을 서명(대한민국 국토교통부-중국 수리부)했으며, 지난해(2024년) 9월 제23회 한중 수자원기술 협력 회의를 베이징에서 개최하며 양국 간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양국은 부처 국장급 기술 협력 회의를 통해 하천시설 설계 및 안전관리 개선 방안 및 홍수·가뭄 재해 예방 등에 대한 연구 의제를 공유하는 등 물재해로부터 양국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왔다.우리나라는 기후위기에 대응해 국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2018년 6월 ‘수자원의 보전·이용·개발’ 기능을 국토부에서 환경부로 이관하고, 2022년 1월 국토부에 남아있던 하천관리 기능까지 환경부로 통합하며 정부의 물관리 일원화를 추진했다. 이에 이번 양국의 양해각서 서명식은 양국 간 수자원 분야 협력 주관부처를 변경하고, 기후위기 대응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양해각서는 기후위기 시대에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및 개발에 관한 협력을 확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자원의 통합관리 및 지속가능한 이용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수자원 보호 정책과 물 절약 산업 진흥 △물 재이용과 빗물(우수) 집수를 포함한 비전통 수자원 관리 △홍수 및 가뭄 재해 예방 △가상현실(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수생태계 복원 및 보전 △강우 및 홍수 예측·감시 체계 등 10가지 분야를 포함한다.비전통 수자원이란 하천수, 지하수와 같은 전통적 19일 한국경제 1면 제목 '늘리려면'을 '늘리리면'으로… 낮은 직급에 중징계한단 지적에 사측 "1면 톱기사 제목 오타가 이례적" 반박[미디어오늘 정민경 기자] ▲한국경제 6월19일 1면 톱기사. 한국경제신문이 신문 1면 기사 제목에 오타가 발생했다는 이유로 데스크급 6명을 내리 징계하고 이들 중 가장 낮은 직급을 감봉 처분하면서 이례적이고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지난 19일 한국경제 종이신문 1면에 <은행, 주담대 늘리리면 자본 더 쌓아라> 제목의 기사가 나갔다. '늘리려면'을 '늘리리면'으로 오기한 것이다. 해당 기사는 새로 들어선 이재명 정부가 은행의 가계대출을 조이기 위해 새로운 자본 규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내용이다.한국경제는 그 책임을 물어 20일 사회부 차장에 '감봉 1개월', 편집국장·편집부장과 정책부문 차장 대우에 '견책', 편집부 부장과 금융부장에 '경고' 징계를 결정했다고 공고했다.이례적인 데다 사회부 차장이 가장 무거운 징계를 받으면서 한국경제 내부 비판이 나온다. 사원 인증을 하면 글을 쓸 수 있는 블라인드 앱의 한국경제 라운지에도 “1면 제목 오타는 정말 큰 실수이고 반성할 일이지만 편집국장, 편집부장 등 데스크 줄줄이 6명이나 징계할 일인가”라며 “더구나 '쫄병'만 중징계할 일인가. 편집국 전체에 대한 모욕”이라는 내용의 글이 게재됐다.이 작성자는 “신문 논조와 기사를 편파적으로 만들고 회사 이미지와 신문 신뢰를 망쳐놓고 반성하는 사람이 없다. 그러면서 건수 잡았다는 듯 무더기 징계를 때린다. 고생하다 일어난 일 아닌가”라고도 썼다. 해당 글에는 '위로 올라갈 수록 책임이 없다'는 지적에 더해, 사측이 그간 편집 기자 확충을 하지 않았고 소액의 당직비만 주면서 과도한 책임을 묻는다는 반응 등도 이어졌다. 한국경제 내부 구성원은 실제 편집국 내부 여론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전했다. 과거 사내에서 불거진 사건들에 비춰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관련해 한국경제 노동조합은 20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